한국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화학연구본부 소개
한국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화학연구본부 소개합니다.
지역 화학산업의 푸른 미래를 열어가는 정밀·바이오화학연구본부
산업 선도형 정밀화학소재 기술 및 폐기물저감 바이오 플라스틱 제조 기술 개발 등 지역 혁신성장을 위한 융합 신기술개발로 지역 신성장동력 창출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화학연구본부는 정밀화학소재연구단과 정밀화학융합기술연구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정밀화학소재연구단은 고부가가치 정밀화학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
국가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기능성 정밀화학소재원천기술 및 응용 연구를 통해 산업계 실용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친환경 차세대 정밀화학소재 기술 개발, 정밀화학 구조 및 물성 제어기술 개발, 정밀화학 융복합 응용 기술 개발 그리고 Pilot 연계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사업이다.
주요 연구성과는 이종소재 접착용 고신율 소재 합성 및 조성물 개발, 광산화환원 촉매 기반 무용제 가시광선 경화형 점접착제 개발, 경화반응제어형 가교화 기반 코팅 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블록공중합체 미세 상분리 현상을 통한 고내구성 자기치유 코팅 소재 구현, 상품의 위변조를 차단하는 카멜레온 필름기술 개발 그리고 유해화학가스 및 유사연료 검지 위한 인지감응 소재개발이다.
정밀화학융합기술연구센터 주요 연구분야는 세 파트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친환경 차세대 정밀화학소재 기술 개발은 고기능성 정밀화학 유/무기 기초소재 기술개발, 차세대 스마트 정밀화학소재 (자극응답, 자가치유, 자가세정, 저온경화) 기술 개발,친환경 고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개발, 주력산업 맞춤형 고기능성 점/접착 소재 기술 개발
그리고 사회문제 해결형 인지·감응 소재 기술 개발이다.
두 번째 정밀화학 구조 및 물성 제어기술 개발은 표면/계면 및 유변특성 제어 기술 개발, 자극/감응 제어 기술 개발, 연성/탄성 제어기술 개발 그리고 미세구조 및 고차구조 제어 기술 개발이다.
세 번째 정밀화학 융복합 응용 기술 개발은 차세대 스마트 정밀화학소재 융복합 응용 기술 개발, 주력산업 맞춤형 점/접착 및 코팅 응용 기술 개발,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산학연 융복합 응용 기술 연구, ET/IT/BT 융복합 정밀화학 기술 개발 그리고 정밀화학 소재 분석 및 시험생산 지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