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4D 프린팅용 형상기억 신소재(비트리머) 기술' 개발
안녕하세요 ~!!! 케미러브입니다 :) 잘 지내셨나요 ??
이번에도 역시 연구원을 꿈꾸는 저에게 제일 관심 있는 분야인 한국화학연구원의 연구 성과에 관한 이야기를 가져왔습니다 :)
시작해보겠습니다 ~!
.
.
.
.
.
한국화학연구원(이미혜 원장님) 김용석‧김동균‧박성민 박사님 연구팀은 최근(2021년 12월 ~ 1월) 발표된 연구에서 자가치유 및 재활용이 가능한 4D 프린팅용 형상기억 비트리머* 신소재를 개발하셨습니다.
*열경화성 고분자의 화학적 안정성과 열가소성 고분자의 가공성을 모두 갖춘 신소재
전세계적으로 4D 프린팅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4D 프린팅용 고분자 신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한 것인데요, 정말 멋집니다 !!
연구팀이 개발한 형상기억 비트리머 소재는 4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의료기기, 소프트 로봇, 형상가변 전자기기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합니다.
본격적으로 내용에 들어가보겠습니다 ~!!
4D 프린팅은 3D 프린팅에 자가 변환 및 자기 조립 등의 개념이 더해진 것으로, 간단하게는 외부 자극에 스스로 반응하는 스마트 소재를 활용하여 프린팅된 3차원 구조체가 특정 조건 하에 스스로 변형을 일으키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4D 프린팅 분야에서 형상기억 고분자는 초기의 고분자 형태를 기억하여, 적절한 자극에 의해 변형된 형태로부터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스마트 고분자 핵심소재이기도 합니다.
한편 향후 3D/4D 프린팅 시장이 확대되면 전세계적으로 다량의 가교 고분자 폐기물이 축적될 것으로 전망되어, 기존에 구축된 3D 프린팅 공정에 바로 적용가능한 ‘재활용 가능 다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이 시급한 상황인데요.
그동안 전 세계 연구진이 4D 프린팅용 형상기억 고분자 신소재 개발에 나섰지만, 단량체·가교제의 과다 사용 및 프린팅 공정상 손실 등의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3D 프린팅 과정에서 가교*된 소재를 손쉽게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문턱 또한 넘지 못했습니다.
* 서로 다른 선형 고분자 사슬들 사이를 다른 사슬로 연결하는 화학결합 반응으로, 그물과 같은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
이에 한국화학연구원 연구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스마트화학 소재 4D 프린팅 연구단’)은 현재 3D 프린팅용 필라멘트*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상용 고분자의 2차례 기능성 가교반응을 통해 형상기억 비트리머 신소재를 합성했습니다.
*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로, 직경 1.75 mm 내외의 가느다란 선형 형태로 가공된 소재
연구팀은 가교구조 제어를 통해 형상기억 비트리머 소재의 형상기억-회복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이고, 열에 의한 자가치유 및 재성형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를 개발하였습니다 !!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를 테스트한 결과, 필름 형태의 소재에 흠집을 낸 후, 고온 열처리한 지 30분이 지나자 자가 치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너무 놀라운 사실인데요!!
또한 가교 구조를 지니고 있음에도 잘 게 부서진 필름형태의 소재를 고온에서 강한 압력으로 찍어내는 프레스 공정을 통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더하여 필라멘트 압출 성형 및 4D 프린팅도 가능하다 합니다.
신소재를 필라멘트 압출기에 넣어주면 깨끗한 필라멘트를 얻을 수 있으며, 3D 펜을 사용하여 형상기억 및 회복이 가능한 3D 구조체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기술 개발로, 소재 분야 관련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4D 프린팅 실용화를 위한 핵심기술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소재의 자가치유 및 재활용 공정 또한 가능하여, 향후 발생가능한 다량의 가교 고분자 폐기물 저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입니다 :)
화학연 이미혜 원장님은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기술은 값싼 상용 고분자로부터 고부가가치 형상기억 비트리머 소재를 합성하는 플랫폼 기술로, 맞춤형 의료기기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고분자에 흥미를 느끼는 저로서는 굉장히 와닿는 연구 결과였습니다 :)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기술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Advanced Science)’ 2021년 12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습니다. 또한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소재융합혁신 기술개발사업, 미래기술연구실 사업, 한국화학연구원 주요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습니다.)
추가적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질의응답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한국화학연구원의 보도자료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krict.re.kr/thumbnail//viewer/1642683915059/index.html
.
.
.
.
.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
다음에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