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초실감 메타버스 적용 신개념 홀로그램 소재 개발
안녕하세요 여러분~ 젤라입니다!
여섯번째 콘텐츠로 찾아왔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바로 '초실감 메타버스 적용 신개념 홀로그램 소재 개발' 입니다 ㅎㅎ
메타버스란 초월, 가상을 뜻하는 'Meta'와 세계를 뜻하는 '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을 초월하는
가상세계를 의미합니다!
현재 구현된 메타버스는 주로 2차원 캐릭터로 현실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에게 극강의 현실감과 몰입감을 주는 기술인 '확장현실'을 통해 메타버스를
완벽히 구현할 수 있답니다!!
홀로그램 기술이란 무엇일까요?
홀로그램은 빛의 간섭 및 회절특성을 이용하여 사물의 완전 입체정보를 기록한 기록물입니다.
XR의 핵심은 바로 '홀로그램 기술'을 활용하면 실감나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수있다는것입니다!
홀로그램의 한계점은 은염소재의 경우 대량제작이 쉽지않고,
포트폴리머 소재의 경우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한화연이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는 광반응성 화합물의 확산 과정이 수반되지 않는 간단한 조성의 광역학
메커니즘이 적용된 홀로그램 기록용 소재라고 합니다~!!
다음은 광역학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홀로그램 기록용 조성물에 대한 그림입니다!
비확산형 홀로그램 기록 조성물을 필름화하여 홀로그램을 기록하면
다양한 기능의 홀로그래픽 광학부품으로 응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감형 확장현실을 구현하는 필수요소라고 합니다~!
한화연이 개발한 신개념 홀로그램 소재는
조성물을 필름화하여 홀로그래픽 광학부품으로 기록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연구팀은 적색, 녹색, 청색 등 특정 파장의 레이저 빛에 반응하는 '광민감성 물질'과 빛의 투과도나 굴절율을
바꾸는 '수용체', 그리고 이 둘이 고르게 분포된 필름을 만들 고분자 매트릭스 등 3가지 구성성분을 활용해
새로운 조성물을 개발했답니다~!
개발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발한 조성물의 광민감제는 레이저를 쏘고,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종을 만들게 됩니다.
이때 주변의 '수용체'와 빠르게 반응하여 '수용체'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레이저를 맞지 않은 부분과
차이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원리로 필름에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활용분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존의 소재 대비 조성물의 구성성분이 세가지로 간단하고, 반응물질의 확산과정이 불필요해 손쉽게
홀로그래픽 광학부품용 소재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번 성과가 기존 기술과 다른점은 무엇일까요?
-기존 이중 은염은 습식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음. 건식, 고속 공정이 가능한 포토폴리머가 각광 받고 있으나 소수의 외국기업이 독점적으로 제한 공급하고 있음
- 기존의 포토폴리머 소재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광반응성 단량체의 고분자화와 이에 따른 단량체의 확산 메커니즘으로, 홀로그램을 기록하는데, 단량체의 확산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에 따라 여러 문제점이 있음
- 확산형 포토폴리머의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은 단량체의 확산을 위해 내열성이 낮은 매트릭스 고분자를 사용함으로 인해 고내열 특성을 요구하는 응용분야 (자동차, 군사 등)에는 사용이 제한됨
- 본 연구에서 레이저 조사에 의해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종이 생성되고 주변의 수용체와 쉽게 반응하여 물질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광역 메커니즘 기반 비확산형 홀로그램 기록소재를 개발함
산업적, 경제적 파급효과는 무엇일까요?
- 메타버스 및 가상현실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감형 디스플레이용 소재를 개발하여 디바이스에 적용함으로서 초실감 메타버스를 구현할 수 있음
- 현재 애플, MS, 구글, 메타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기존 AR 기술에 홀로그램 기술을 접목한 XR 스마트 글라스를 스마트폰을 대체할 차세대 플랫폼 기술로 보고 개발 및 상용화에 힘쓰고 있음
-XR 스마트 글라스에 필요한 광학부품은 홀로그램 기록소재로부터 얻어지며 개발 완료시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초고속 이동통신 (5G), 인공지능 (AI)과 연결 큰 산업적, 경제적 파급효과 있을 것으로 기대
이상으로 여섯번째 콘텐츠인 '초실감 메타버스 적용 신개념 홀로그램 소재 개발'를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11월에도 흥미로운 콘텐츠로 찾아오겠습니다~!
지금까지 케미러브 3기 젤라였습니다:)